스터디 목표

assets/img/KakaoTalk_20210111_225425973.jpg

최소한 알아야 하는 것(코딩테스트, 면접)

1.주력 언어

  • 내가 자신있는 언어가 없다면 이거부터 열심히 해라.

2.자료구조 및 알고리즘

  • 코테를 위해 필요한 개념

3.네트워크

4.리눅스 기초

  • 운영 체제를 리눅스로 바꾸는 것 권장

5.개발 툴 기초

  • 깃 사용.

  • 여러분의 경쟁자는 이미 갖고 있음

6.소프트 스킬

  • 팀웍을 잘 할줄 아는 기술.

  • 자소서, 면접에서 이 기술을 가졌다는 것을 드러내면 좋음

7.영어

  • 잘할수록 아주 좋음

  • 영어를 사용하면 정보의 양과 질이 아주 높아진다.

  • 최신 트렌드를 따라가는데 아주 좋음

8.깊게 이론을 알아야 하는 것(필기테스트)

  •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

  • 네트워크

  • 운영체제

  • 데이터베이스

  • 컴파일러

학습전략

-학교 수업

-수업 들어가기 전에 왜 이 과목이 필요한지를 아는 것이 베스트

-학교에서 이것저것 해주길 바라지 말고, 최대한 능동적으로 많이 배울 것

-자체 커리큘럼

-학교에서 해주는게 정말 없다. 절대 학교 수업만 듣고 취업할 수 없다.

-필수.

-길게 보고,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

-지속적인 조사

-모르는 기술/용어 나올 때마다 what/why/how 로 정리

-이래야 면접에서 헷갈리지 않고 술술 나온다.

-구글에서 정한 지식 습득 가이드.

-블로그까지 하면 금상첨화

-너무 거창하게 생각하지 말 것.

-네가 꾸준히 공부했다는 증거.

-프로젝트

-공모전, 해커톤 참가

-바보 취급 당할 각오 하고 해커톤 들어가세요

-아직 시간이 많다면 창업도 추천

-1, 2학년 한정. 창업 자체가 굉장히 좋은 코웍 경험.

-오픈소스 프로젝트 기여

어떻게 커리큘럼을 짜는가?

-xxx Roadmap 검색

-목표가 있다면, 예를 들면 backend designer, frontend designer 라면 열심히 하면 된다.

유료 강의의 목차

회사별 채용 공고 확인

-현업의 기준을 가장 빨리 알 수 있는 문서.

-채용 공고에 굉장히 많은 정보가 들어가 있다.

-현재까지 한 코드의 정도

-미래에 진행할 코드에 대한 정보

-(신입) 자격요건 및 우대사항 에 적혀있는 것을 면접때 물어본다.

-(경력) 은 현업에서 2-3년 구른 사람을 뽑겠다는 이야기.

-기죽지 마라.

-아 이런 분야에 구른 사람들은 이런 방향으로 성장하는구나 라고 생각하면 됨.

왜 코딩테스트를 보는가

*사실 우리는 다익스트라, MST 같은거 안 짠다.

*개발자는 컴퓨터에게 일을 시키는 사람.

+컴퓨팅적 사고를 할줄 아는가

+컴퓨터에게 일을 시킬 줄 아는가

*개발자는 코드를 짜는 사람

+카카오를 제외하면 코딩테스트 난이도가 그렇게 높지 않다.

*개발자는 협업하는 사람

+깔끔하게 코드를 짤 줄 아는가?

추천 학습 소스

1.면접왕 이형

2.생활 코딩

-기초적인 코딩이 없다면 시작하라

3.유튜브

4.공식 도큐먼트

-뭐고 왜쓰는지 알겠다. 면 읽기 시작해라.

카네기 인간관계론 (박종훈 선배)

공부해야 할 것

컨텐츠 특징
 
슬랙 채널을 만들어 파일을 전달할 수 있음.
카카오톡 단톡방과 유사, 좀 더 세분화되어 있음 현황을 일괄적으로 확인하기에 좋음. 팀장급의 지시사항, 전반적인 일의 진행 사항을 전달받기 용이함. 인당 8$ 해커톤에서 주로 사용함.
노션 개인 포트폴리오를 짜는데 사용하기도 함

팀 빌딩 때 추천 활동

-자기소개

-사용 언어 소개

-안 정하며 여러개 배우는 것도 좋다

-목표와 key result 정하기

-측정 하는한 것으로 할 것

-팀명 정하기(옵션)

-팀 룰 정하기(ex. 반말)

-합의 하에 정하는 최소한의 기준